동적 사이트 vs 정적사이트
#web
작성일:2025. 3. 10.
수정일:2025. 3. 20.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고 단순하게 동적 사이트와 정적 사이트를 구분한다면 페이지의 렌더링 (화면 렌더링 아님) 시기 이다.
정적 사이트는 HTML이 빌드 타임에 미리 생성되고 수정되지 않는다. 하지만 동적 사이트의 경우 클라이언트 측이든 서버 측이든 요청에 따라 HTML 이 생성되게 된다.
화면 렌더링(브라우저의 렌더링) 과 페이지 렌더링의 차이
동적 사이트와 정적사이트에서 표현하는 렌더링은 HTML에 대한 렌더링 이다. 즉 코드를 HTML 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화면에 대한 렌더링은 이 완성된 HTML 과 CSS 를 웹브라우져가 화면에 그려 표현해주는것을 뜻한다. 참고: 웹브라우저의 렌더링
CSR,SSR,SSG#
CSR(Client Side Rendering) 과 SSR(Server Side Rendering) 의 경우 동적 사이트로 분류될 수 있다. 왜냐하면 HTML 의 렌더링 시기 때문이다. SSR의 경우 요청에 따라 Javascript 가 담겨있는 HTML을 받아와 해당 javascript 코드를 실행하여 직접 HTML을 생성하여 렌더링 하게 된다. SSR의 경우 요청에 따라 서버 측에서 HTML 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CSR과 SSR둘 다 요청 이후에 필요에 따라 HTML이 새로 만들어지며 이 때문에 동적 사이트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SSG의 경우 HTML 을 빌드 타임에 미리 생성하게 되기 때문에 정적 사이트로 분류될 수 있다.
참고: CSR vs SSR vs SSG